본문 바로가기
회계기초

[회계기초] 매출채권 vs 기타채권, 그리고 대손 처리 흐름 정리 (분개 예제 포함)

by 스터디마스터 2025. 4. 15.

안녕하세요. 음성회계스터디룸입니다.

오늘은 회계를 공부하면서 헷갈리기 쉬운 매출채권과 기타채권의 차이, 그리고 실무나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대손 회계처리 흐름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대손 관련 회계처리는 매출채권과 기타채권에서 처리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차이점 파악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고 개념과 분개 방식 모두 정리해보세요.


📌 매출채권과 기타채권의 차이 간단 정리

매출채권영업활동에서 발생한 채권을 의미합니다. 상품을 외상으로 팔거나, 어음을 받았을 때 생기는 채권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외상매출금: 상품이나 제품을 외상으로 판매했을 때 발생하는 채권
  • 받을어음: 상품을 판매하고 어음을 발행받았을 때 생기는 채권

기타채권영업 외적인 거래에서 생긴 채권을 의미합니다. 상품 매출과는 직접 관련 없는 금전 거래로 생긴 채권이죠.

  • 미수금: 비품이나 차량 등 비영업용 자산을 외상으로 처분했을 때 발생하는 채권
  • 대여금: 타인에게 현금을 빌려주고 아직 회수하지 못한 금액
    • 장기대여금: 회수 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대여금
    • 단기대여금: 회수 기간이 1년 이내인 대여금

📌 대손이란 무엇인가?

**대손(貸損)**이란 회수가 불가능해진 채권을 말합니다. 즉, 외상으로 상품을 팔았는데 돈을 못 받게 된 상황을 뜻합니다.

왜 대손 회계처리를 해야 할까?

회수 불가능한 금액을 비용으로 인식하고, 회계상 자산가치를 현실화하기 위함입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재무제표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대손 관련 계정과목 정리

계정과목 설명
대손상각비 매출채권에서 대손이 발생했을 때 비용으로 처리 (판매비와관리비에 속함)
기타의대손상각비 기타채권에서 대손이 발생했을 때 비용으로 처리 (영업외비용에 속함)
대손충당금 기말 대손 추정을 위해 설정하는 차감적 평가계정
대손충당금환입 대손으로 처리했던 금액을 다시 회수했을 때 수익으로 인식

📌 매출채권 대손 회계처리 흐름 (중요)

1. 기말 대손추정 (대손충당금 설정)

예: 외상매출금 10,000,000원에 대해 2% 대손을 추정하다. (기존 대손충당금 잔액 없음)

분개:

대손상각비 200,000 / 대손충당금 200,000

 

예: 외상매출금 10,000,000원에 대해 2% 대손을 추정하다. (기존 대손충당금 잔액 50,000원 있음)

분개:

대손상각비 150,000 / 대손충당금 150,000


2. 대손 발생 시 

예: 외상매출금 중 회수 불가능한 300,000원이 발생하다.(대손충당금 잔액 없음)

분개:
대손상각비 300,000 / 외상매출금 300,000

※ 단, 대손충당금의 잔액이 부족하면 부족한 부분은 대손상각비로 처리합니다.

예: 외상매출금 중 회수 불가능한 300,000원이 발생하다. (대손충당금 잔액 200,000원)

분개:
대손충당금 200,000 , 대손상각비 100,000 / 외상매출금 300,000


3. 대손금 회수 시

예: 과거에 대손 처리했던 외상매출금 300,000원을 회수하다.

  • 전기에 대손처리했을 경우 → 대손충당금 계정을 사용

분개:
현금 300,000 / 대손충당금 300,000

  • 당기에 대손처리했을 경우 → 처리 당시 차변에 사용했던 계정과목과 금액이 대변에 온다

예: 당기에 외상매출금 300,000원을 대손 처리 후, 다시 회수하다.

대손 시 분개:
대손상각비 300,000 / 외상매출금 300,000

회수 시 분개:
현금 300,000  / 대손상각비 300,000


✅ 매출채권 vs 기타채권 대손 회계처리의 차이

기타채권도 매출채권과 동일한 단계로 대손 회계처리를 하지만, 사용되는 계정과목이 다릅니다.

 

시험에서 자주 출제되는 포인트!

  • 매출채권은 **대손상각비(판관비)**로 처리
  • 기타채권은 **기타의대손상각비(영업외비용)**로 처리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실전 분개 연습문제 (10선)

실전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분개 연습문제를 준비했습니다. 아래 빈칸을 채우며 연습해보세요!

문제 01.
외상매출금 8,000,000원에 대해 3% 대손을 추정하다. (기존 대손충당금 잔액 없음)

 

 


문제 02.
받을어음 5,000,000원에 대해 2% 대손을 추정하다. (기존 대손충당금 잔액 30,000원 있음)

 

 


문제 03.
외상매출금 중 400,000원이 회수불능으로 대손 처리되다. (대손충당금 잔액 없음)

 

 


문제 04.
외상매출금 중 600,000원이 대손 발생. 대손충당금 잔액은 400,000원이다.

 

 

 


문제 05.
전기에 대손 처리한 외상매출금 250,000원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문제 06.
당기에 대손 처리(대손상각비처리)한 외상매출금 300,000원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문제 07.
대여금 2,000,000원 중 100,000원이 회수 불가능하게 되어 대손 처리하다. (기타채권, 대손충당금 없음)

 

 

 


문제 08.
기타채권인 미수금 3,000,000원에 대해 5% 대손을 추정하다. (기존 대손충당금 잔액 없음)

 

 

 


문제 09.
기타채권인 미수금 중 400,000원이 회수 불가능하게 되어 대손 처리되다. 기존 대손충당금은 100,000원 있음.

 

 

 


문제 10.
전기에 대손 처리한 미수금 120,000원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 정답 및 해설 PDF로 확인하기

정답과 해설은 아래 PDF 파일을 다운로드해 확인해 주세요.
직접 풀어본 후 해설과 비교하면 실력이 쑥쑥 올라갑니다!

 

정답및해설_매출채권,기타채권_대손처리흐름정리.pdf
0.06MB


다음 글 예고 🔜

다음 포스팅에서는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시는 가지급금과 출장비 정산 처리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가지급금과 인출금의 차이점까지 함께 정리하니, 꼭 다시 방문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