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 1급 실기 시험에서 가장 많이 나오는 항목 중 하나가 바로 매입매출전표 입력이죠.
문제에서 제시한 거래를 보고 ‘유형’을 정확히 선택하는 것이 핵심 포인트인데요,
이때 자주 실수하는 부분이 바로 과세, 면세, 불공의 구분입니다.
오늘은 유형 선택 기준과 입력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들을 정리해 드릴게요.
1. 유형 선택의 핵심! 과세, 면세, 불공의 차이 제대로 알기
✅ 매출 관련 유형
코드 | 유형 명 | 설명 |
11 | 과세매출 | 일반적인 세금계산서 발행 매출. 부가세 10% 발생. 법인이나 일반과세자에게 재화나 용역을 공급한 경우. |
13 | 면세매출 | 계산서 , 부가세 없음. 도서, 식료품 등 면세 품목의 매출. |
17 | 카드과세매출 | 카드매출로 처리되는 과세 매출. 소매업 등에서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한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 X. |
✅ 매입 관련 유형
코드 | 유형명 | 설명 |
51 | 과세매입 | 일반적인 세금계산서 수취 매입. 부가세 환급 가능. 물품, 원재료, 외주가공비 등. |
53 | 면세매입 | 계산서 , 부가세 없음. 도서, 우표, 의료비, 식료품 등 면세 품목을 구입한 경우. |
54 | 불공매입 | 세금계산서는 받았지만 부가세 환급 불가. 접대비, 업무용이 아닌 비용, 차량 관련 등. (ex: 승용차 렌트, 기름값 등) |
57 | 카드과세매입 | 신용카드로 결제한 과세매입. 세금계산서 수취는 없지만, 과세 거래이므로 부가세 환급 가능. 카드 매출전표 확인. |
2. 매입세액불공제 (불공) 알아보기
‘불공’이란?
세금계산서를 받았더라도 부가가치세를 공제받을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럴 때는 54. 불공 유형으로 매입매출전표에 입력해야 해요.
📌 대표적인 불공 사유는 다음과 같아요!
- 사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지출 (사업무관)
- 예: 사장 개인 용도의 물품 구입 등
- 비영업용 소형 승용차의 구입, 임차, 유지 관련 지출
- 자동차세, 수리비, 유류비 등 포함
- 면세사업과 관련된 매입세액
- 면세사업(예: 도서, 의료업 등)을 영위할 때 발생한 매입은 부가세 공제 불가
- 접대비(기업 업무추진비) 관련 매입
- 거래처 식사, 선물 등은 회사 비용이지만 부가세는 공제 안 됨
- 토지의 자본적 지출
- 건물의 취득과 다르게, 토지 관련 지출은 부가세 공제 불가
❗ 추가 주의사항
- 신용카드 매출전표나 현금영수증을 받은 경우,
불공 사유에 해당한다면 매입매출전표입력이 아닌 일반전표입력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 따라서, '불공 유형(54)'은 오직 세금계산서를 수령했을 때만 매입매출전표입력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3. FAT 1급 실기에서 실수 줄이는 팁과 입력 요령
매입매출전표 입력 화면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 4가지를 정리해 볼게요.
1) 유형 :
- 첫째, 문제에서 매입인지, 매출인지 확인
- 둘째, 증빙이 무엇인지 확인
매출 + 세금계산서 : 11.과세
매입 + 세금계산서 : 51.과세
( 👉 만약, 불공사유에 해당하면 54. 불공)
매출 + 계산서 : 13. 면세
매입 + 계산서 : 53. 면세
매출 + 신용카드 : 17. 카과
매입 + 신용카드 : 57. 카과
2) 공급가액 입력시
- 유형이 '카과'라면, 공급대가(공급가액+부가세)를 입력하세요.
공급가액과 부가세가 자동으로 나눠지면서 입력됩니다. - 다른 유형은 공급가액 입력하세요
3) 분개
- 1. 현금 : 분개 시 차변 또는 대변 전액 현금일 때
- 2. 외상 : 분개 시 차변 또는 대변 전액 외상매입금 또는 외상매출금일 때
- 3. 혼합 : 나머지 3가지에 해당되지 않을 때
- 4. 카드 : 카드 결제일 때
1~4번은 분개를 편하게 입력하기 위함으로 분개만 맞다면, 이 부분이 정답과 다르다고 틀리지 않아요.
4) 거래처
모든 거래처는 위에서 입력한 거래처가 그대로 반영이 되므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반드시 체크해야 하는 경우가 몇 가지 있어요.
- 카드 결제 : 거래처가 '카드사'로 바뀌었는지 꼭 확인하고, 다르다면 직접 수정해 주세요.
- 예금 종류 : 예금 종류는 거래처를 해당 은행으로 꼭 수정해주셔야 합니다.
- 가지급금 : 시험에서는 주로 대표이사님이 개인적 물품 구매하는 걸로 자주 나옵니다. 그럼, 거래처를 대표이사님으로 바꿔줘야겠죠?
전표 유형 선택은 FAT 1급 합격의 중요한 열쇠입니다.
문제를 꼼꼼히 읽고, 거래 내용과 세금계산서 유무, 부가세 여부를 기준으로
차분하게 유형을 선택하는 연습을 자주 해보세요!
실수를 줄이고, 점수를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반복 훈련입니다.
꾸준히 익히고 정리하다 보면 실전에서도 당황하지 않을 거예요.
오늘도 좋은 학습되시길 바랍니다 😊
'FAT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T1급] 기초분개 & 일반전표입력 연습으로 FAT 실력을 키워 보세요-입력법 영상 가이드(2) (33) | 2025.05.31 |
---|---|
[FAT 1급 실기] 11 과세·13 면세·17 카드과세 매출전표 입력 한 번에 끝내기 + 입력법 영상 가이드 (1) | 2025.05.31 |
FAT 1급 필수 이론 '단기매매증권 vs 매도가능증권' 완벽 정복! 기출 분석 (68~80회) + 예상문제 제공 (1) | 2025.05.26 |
[FAT1급 기출분석] 재무제표에서 꼭 나오는 포인트만 정리! (69~80회 기출 기반) (1) | 2025.05.25 |
[FAT1급] 회계의 질적특성, 회계의 기본가정, 유동성배열법 - 기출 분석으로 보는 꼭 나오는 포인트만 콕!! (1) | 2025.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