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산 시즌이 다가오면 회계 수험생이나 실무자 모두가 한 번쯤 헷갈리는 개념이 있죠. 바로 수익과 비용의 이연(선급, 선수) 그리고 발생(미수, 미지급)입니다. 특히 FAT 1급 시험이나 회계 관련 자격시험에서는 이 파트가 자주, 반복적으로 출제되고 있어 핵심 이론만 정확히 잡아도 고득점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을 간결하게 정리하고, 기출문제 유형을 철저히 분석하여 만든 실전 연습문제 10선을 제공합니다. 기출문제 스타일은 유지하면서, 출제 포인트는 확실히 짚어주는 문제들이니 꼭 풀어보세요.
또한, 여러분의 학습을 돕기 위해 문제별 정답 및 해설 PDF도 제공하니 다운로드하여 복습용으로 활용하시면 좋습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핵심 이론부터 차근차근 살펴볼까요?
📘 수익·비용의 이연(선급·선수)과 발생(미수·미지급) – 핵심 개념 정리
구분 | 정의 | 결산 시 분개(대표 예) | 손익계산서 영향 |
선급비용 | 이미 현금은 나갔지만 아직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은 금액 | (차) 선급비용 / (대) 관련 비용 | 비용↓ → 이익↑ |
선수수익 | 이미 현금을 받았으나 아직 수익으로 인식하지 않은 금액 | (차) 수익 / (대) 선수수익 | 수익↓ → 이익↓ |
미수수익 | 아직 현금을 받지 않았지만 이미 수익이 발생한 금액 | (차) 미수수익 / (대) 수익 | 수익↑ → 이익↑ |
미지급비용 | 아직 현금이 나가지 않았지만 이미 비용이 발생한 금액 | (차) 비용 / (대) 미지급비용 | 비용↑ → 이익↓ |
비용의 이연 | 선급비용처럼 “비용 → 자산”으로 이동 | 기간 경과 후 자산이 비용으로 전환 | |
수익의 이연 | 선수수익처럼 “수익 → 부채”로 이동 | 기간 경과 후 부채가 수익으로 전환 | |
경과이자 | 정기예금·대여금 등에서 경과된 이자 미수 처리 | (차) 미수이자 / (대) 이자수익 |
🔑 출제 경향:
- “월할 계산”으로 기간 배분을 묻는 숫자 문제 빈출
- 선급‧선수·미수‧미지급 분개 방향 확인 (차변·대변 계정)
- 누락이 당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물음
- 정기예금/보험료처럼 1년·분기·월 단위 계약 후 결산일 조정
📝 연습문제 10선
68~80회 기출문제에서 총 7회 출제되었으며,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연습문제를 만들었습니다.
1. 미수이자 조정
(주)마루는 2025년 8월 1일에 정기예금 ₩4,800,000(만기 1년, 연 이율 8%, 만기 일시 수령)을 체결하였다. 2025년 12월 31일 결산 분개의 차변·대변 계정과 금액으로 옳은 것은?
① (차) 이자수익 ₩160,000 / (대) 미수수익 ₩160,000
② (차) 미수수익 ₩160,000 / (대) 이자수익 ₩160,000
③ (차) 이자수익 ₩128,000 / (대) 선수수익 ₩128,000
④ (차) 미수수익 ₩128,000 / (대) 이자수익 ₩128,000
2. 선급보험료 조정
2025년 9월 1일 1년치 보험료 ₩1,320,000을 전액 비용으로 처리한 (주)세진은 결산일(12월 31일)에 어떤 수정 분개가 필요한가?
① (차) 보험료 ₩440,000 / (대) 미지급비용 ₩440,000
② (차) 선급비용 ₩440,000 / (대) 보험료 ₩440,000
③ (차) 보험료 ₩880,000 / (대) 선수수익 ₩880,000
④ (차) 선급비용 ₩880,000 / (대) 보험료 ₩880,000
3. 선수임대료 인식
(주)오름은 2025년 12월 1일 3개월분 임대료 ₩270,000을 현금으로 수령하고 전액 수익으로 인식하였다. 12월 31일 결산 시 필요한 분개는?
① (차) 선수수익 ₩180,000 / (대) 임대료수익 ₩180,000
② (차) 임대료수익 ₩180,000 / (대) 선수수익 ₩180,000
③ (차) 선수수익 ₩90,000 / (대) 임대료수익 ₩90,000
④ (차) 임대료수익 ₩90,000 / (대) 선수수익 ₩90,000
4. 당기순이익 수정 ①
결산 전 당기순이익이 ₩420,000인 (주)빛솔은 급여 미지급 ₩60,000을 반영하지 않았다. 수정 후 당기순이익은?
① ₩360,000 ② ₩420,000 ③ ₩480,000 ④ ₩300,000
5. 당기순이익 수정 ②
임대료 미수익 ₩25,000을 회계 처리하지 않은 경우 당기순이익은 어떻게 되는가?
① 과소계상 ₩25,000 ② 과대계상 ₩25,000
③ 과소계상 ₩50,000 ④ 영향 없음
6. 경과이자 누락 영향
2025년 10월 1일 가입한 연 이율 6% 정기예금 ₩9,000,000(1년 만기)의 이자 경과분을 인식하지 않았다. (월할 계산) 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은?
① 이익 ₩135,000 과대계상
② 이익 ₩135,000 과소계상
③ 이익 ₩270,000 과대계상
④ 이익 ₩270,000 과소계상
7. 계정 분류
다음 중 비용의 이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선급임차료 B. 선수이자 C. 선급보험료 D. 선급광고료
① A ② B ③ C ④ D
8. 미지급이자 분개
(주)태영은 2025년 7월 1일, 연 이율 5%의 은행 차입금 ₩12,000,000을 받았다(원금 상환일: 2026년 1월 1일). 2025년 12월 31일 결산 시 미지급이자를 인식하면 차변·대변은?
① (차) 이자비용 ₩300,000 / (대) 미지급비용 ₩300,000
② (차) 미지급비용 ₩300,000 / (대) 이자비용 ₩300,000
③ (차) 이자비용 ₩150,000 / (대) 미지급비용 ₩150,000
④ (차) 미지급비용 ₩150,000 / (대) 이자비용 ₩150,000
9. 분개 방향 판단
다음 중 결산 수정 분개가 차변: 비용 / 대변: 미지급비용 형태로 이루어지는 사례는?
① 선급보험료 인식
② 이자수익 미수분 인식
③ 급여 미지급분 인식
④ 선수임대료 인식
10. 복합 조정
(주)예람은 2025년 4월 1일 2년치 웹 호스팅료 ₩480,000을 선급비용으로 처리하였다. 2025년 12월 31일 결산 시 비용으로 전환할 금액은?
① ₩90,000 ② ₩135,000 ③ ₩180,000 ④ ₩240,000
📌 학습 Tip
각 문제를 풀 때는 ① 기간 계산 → ② 계정 분류 → ③ 차변·대변 판단 순으로 접근하면 실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정답 및 해설 모음집 다운로드
문제를 풀었다면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통해 스스로 복습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각 문제의 정답과 함께 상세한 해설이 정리된 PDF 파일을 받아보실 수 있어요.
오답 체크 + 개념 복습 + 시험 대비까지 한 번에 끝내 보세요!
수익·비용의 이연과 발생 개념은 단순히 외워서는 시험장에서 헷갈리기 쉽습니다. 하지만 실전처럼 문제를 풀어보고, 정답의 근거를 이해하는 연습을 반복하면 자연스럽게 개념이 정리되고 응용력도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 제공한 연습문제와 해설 PDF는 여러분이 실수를 줄이고 자신감을 갖는 데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앞으로도 FAT 시험과 회계 실무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로 찾아올게요.
작은 개념 하나라도 제대로 이해하고 넘어가는 습관, 그것이 합격을 만드는 가장 확실한 비결입니다!
오늘도 성실하게 공부하시는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
'FAT 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T 1급 실기] 51 과세·53 면세·54 불공·57 카과 매입전표 입력 한 번에 끝내기 (3) | 2025.06.02 |
---|---|
[FAT1급] 기초분개 & 일반전표입력 연습으로 FAT 실력을 키워 보세요 -입력법 영상 가이드(1) (44) | 2025.06.01 |
[FAT1급] 기초분개 & 일반전표입력 연습으로 FAT 실력을 키워 보세요-입력법 영상 가이드(2) (33) | 2025.05.31 |
[FAT 1급 실기] 11 과세·13 면세·17 카드과세 매출전표 입력 한 번에 끝내기 + 입력법 영상 가이드 (1) | 2025.05.31 |
[FAT 1급 실기] 매입매출전표 입력 시 반드시 알아야 할 포인트 (4) | 2025.05.30 |